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전기기사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 장해

임피던스 종류에 따른 중성점 접지방식

 

1. 직접 접지 Zn = 0

2. 비접지 Zn = ∞

3. 저항 접지 Zn = R

4. 소호 리액터 접지 Zn = jX

 


직접 접지 방식(초고압 장거리, 154, 345, 765kV) 비접지 방식(저전압 단거리, 3,3/6.6kV)
변압기를 Y-결선 후 중섬점을 대지와 접지선으로 접지 변압기를 Delta-결선, 접지선을 연결하지 않는다
지락 전류가 크다 지락 전류 = j3wCE(진상전류)
지락 사고 시 건전상의 전위상승 적다. 지락 사고 시 건전상의 전위상승 √3배(이상전압)
기기의 단절연, 저감 절연이 가능 지락 전류가 작아 지속적인 송전 가능
보호계전기 동작이 확실하다 접지(지락)계전기 동작이 곤란하다.
통신선에 대한 유도 장해가 가장 크다 전력선 주변의 통신선에 대한 유도 장해가 적다
보호계전기 동작이 빈번하여 과도안정도가 나쁘다 변압기 1대 고장 시 V결선으로 송전 가능
지락 전류가 커서 기기에 미치는 충격이 크다 주로 저전압, 단거리 계통에 사용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중거리, 66k)

 

1. 전선의 대지정전용량과 병렬공진 할 수 있는 소호 리액터를 변압기 중성점과 대지 사이에 설치하여 지락 전류를 소멸시키는 접지 방식이다. 

2. 소호 리액터의 크기 : wL = 1/3wC

3. L과 C의 병렬공진을 이용한다.

4. 지락 전류가 매우 작아서 지락 사고 시에도 계속 송전이 가능하다. (보호계전기 불확실)

5. 전력선 주변의 통신선에 대한 유도 장해가 적다.

6. 과도안정도가 우수하다.

7. 지락 사고 시 이상전압이 √3배 이상으로 증가한다.

8. 단선 사고 시 이상전압이 가장 크다. (단점)

 


중성점 잔류 전압

보통 운전 상태에서 중성점을 접지하지 않을 경우 중성점에 나타나는 중성점과 대지 사이의 전압

 

발생 원인

1. 송전선의 3상의 각 대지정전용량이 같지 않아 불평형에 의해 발생한다.

2. 차단기 개폐가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3. 지락 사고 등 계통의 각종 사고에 의해 발생

 

중성점 잔류 전압의 크기

 

 

만약 선로정수평형이 이루어졌다면 En = 0

중성점 잔류 전압의 감소 대책 : 송전선로의 충분한 연가를 실시 

 

'자격증 >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락(Flashover)  (0) 2021.11.13
ACSR(강심 알루미늄 연선)  (0) 2021.11.13
송전 특성  (0) 2021.11.13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0) 2021.11.13
안정도 및 고장 계산  (0) 202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