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한국사능력검정

(12)
현대 사회 1. 8.15 광복과 정치 상황 광복 직후 건국 준비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1940년 충칭에 정착한 이후, 독립 국가 수립을 위한 건국 준비 삼균주의에 기반한 민족의 자유와 독립, 민주주의 국가 건설 등의 강령 발표 조선 독립 동맹 1942 중국 옌안을 거점으로 김두봉 등 사회주의 계열의 세력이 조직하여 건국 준비 민주 공화국 수립, 남녀평등, 토지 분배, 대기업 국유화 등의 강령 발표 조선 건국 동맹 1944 국내에서 여운형 등이 일제의 패망에 대비하기 위해 좌우세력을 연합하여 건국 준비 민족의 자유와 독립, 민주주의 국가 건설 등의 강령 발표 광복 직후,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로 개편 8.15 광복과 38도선의 획정 카이로 회담(1943) 한국을 적절한 시기에 독립시키기로 최초의 결의 포츠담 회담(..
일제 강점기 1. 일제의 식민 통치 2. 일제의 경제 침탈 3. 민족 운동, 무장 독립 전쟁 4. 실력 양성 운동과 학생 항일 운동 무단 통치(1910년대) 조선 총독부 : 일제 식민 통치의 중추 기관으로 일본 국왕 직속 현역 대장 중에서 임명하여 전권을 행사함 헌병 경찰 제도 : 독립운동가 색출(105인 사건, 1911), 의병 강제 해산, 즉결 처분권(1910), 조선 태형령(1912), 관리 및 교원이 칼과 제복 착용으로 공포 분위기 조성(트라우마 목적) 교육 기회 제한(제1차 조선 교육령, 1911) : 식민 통치에 순응하는 한국인 육성, 보통학교 수업 4년, 실업 위주 교육 토지 조사 사업, 식민 통치의 경제적 기반 마련, 토지 수탈,지세의 안정적 확보 임시 토지 조사국(1910), 토지 조사령(1912) ..
근대 사회 중국 : 양무운동(동도서기론), 동양의 근본을 유지하되, 서양의 기술만을 수용 일본 : 메이지유신(문명개화론), 서양의 모든 것을 수용 조선 : 쇄국정치(내부정리), 세도 정치 세력 척살 1.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의 정치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 철종의 뒤를 이어 어린 고종이 즉위함에 따라 고종의 부친인 흥선대원군이 국정 주도(1863 ~ 1873) 인사 개혁 : 세도 정치 시기의 안동 김씨 축출, 당파보다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정치 개혁 : 비변사 축소,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 부활시켜 정치와 군사 업무 분담하게 함 법전 편찬 : 통치 체제 정비를 위해 [대전회통], [육전조례] 등 각종 법전 편찬 서원 정리 및 경복궁 재건 서원 철폐 : 민생 안정 및 왕권 강화 서원이 면세의 혜택을 누려 국가 재정을..
조선 후기 1. 조선 후기의 정치 변화 비변사의 기능 강화 중종 때 3포 왜란(1510)을 계기로 설치, 명종 때 을묘왜변(1555)을 계기로 상설 기구화, 임진왜란 이후 국정 총괄 기구로 부상, 세도 정치기에는 세도 가문의 권력 기반이 됨, 왕권이 약화되고 의정부와 6조의 기능 축소, 흥선대원군 때 폐지 군사 제도의 변화 중앙군은 기존의 5위 체제에서 임진왜란 이후 5군영 체제로 개편, 훈련도감(1593)은 삼수병(포수, 사수, 살수)으로 구성되며 대부분이 급료를 받는 상비군, 어영청, 수어청, 총융청, 금위영 지방군은 속오군 체제, 양반에서 노비까지 모든 신분을 편제, 양반의 속오군 편성 회피로 상민과 노비의 군대로 변질 붕당 정치의 전개 선조 사림의 집권 이조 전랑, 왕권과 유력 신권을 견제하는 삼사(사간원,..
조선 전기(연도별) 1388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1389 고려 공양왕 재위 1391 과전법 시행, 권문세족의 세력 약화 1392 태조 이성계, 정몽주 등 온건파 사대부 제거 후 조선 건국 1394 한양 천도, 정도전 [조선경국전] 1395 정도전 [경제문감] 조선경국전을 보완, [고려국사], [천상열차분야지도] 고구려의 천문도 1398 정종 즉위, 정도전 [불씨잡변], 성리학의 관점에서 불교의 폐단 비판, 숭례문 완성 1400 태종 즉위, 6조 직계제, 사간원 독립, 호패법, 신문고 등 1402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403 주자소 설치, 계미자, [동국사략] 왕조의 정통성 확보 목적 1404 창덕궁 1405 재정 확충을 위해 세금을 걷을 토지를 조사하는 양전 사업 실시 1406 유향소(지방 자치 기구) 폐지 1418 ..
고려 시대(연도별) 900 견훤 후백제 건국 901 궁예 후고구려 건국 907 당 멸망, 오대십국 시대 916 요(거란) 건국, 야율아보기가 거란의 부족을 통일 918 고려 건국, 태조왕건 919 철원에서 송악으로 천도 926 발해 멸망, 거란에 의해 멸망함 927 공산 전투, 후백제와의 전투에서 패배 930 고창 전투, 후백제 격퇴 934 발해 유민 포용 935 견훤 귀순, 신라 항복 936 후삼국 통일, 일리천 전투, 황산 전투에서 후백제 격퇴 940 역분전 실시, 후삼국 통일 과정에서 공로자에게 인품과 공로에 따라 토지 지급 949 광종 즉위 956 노비안검법 실시, 호족 세력 약화, 국가의 수입 기반 확대 958 과거제 실시(문치주의, 유교) 960 송의 중원 통일 975 경종 즉위 976 시정 전시과 실시, 관직 ..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연도별) BC 221 춘추전국시대 진 통일 BC 206 전한 BC 37 고구려 건국, 동명성왕, 졸본성 BC 19 유리왕, 고구려 BC 18 백제 건국, 온조왕, 위례성 3 도읍을 국내성으로 천도, 백제 9 신 건국 18 대무신왕, 고구려 22 대무신왕이 부여 정복, 고구려 25 후한 건국 32 낙랑군 일부 점령, 고구려 42 가락국 건국(가야), 김수로왕, 김해 53 태조왕, 고구려 65 동옥저 복속, 고구려 179 고국천왕, 왕위 계승제 확립 220 후한 멸망, 삼국시대 234 근초고왕, 백제, 6관등제 265 위 삼국 통일 300 미천왕, 고구려 313 낙랑군, 대방군 축출, 고구려 316 위 멸망, 십육국 시대 330 고국원왕, 고구려 356 내물왕, 신라 371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평양성에서 사망,..
조선 전기 1. 조선의 건국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고려 말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물리친 최영, 이성계 등의 신흥 무인 세력이 백성의 신망을 받으며 성장함 요동 정벌과 위화도 회군 명이 원을 몰아내고 중국을 장악, 고려에 철령 이북의 땅을 요구, 우왕 때 명의 요구에 반발한 최영 등이 요동 정벌을 주장, 이성계 등 4불가론을 들며 요동 정벌에 반대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음, 위화도 회군(1388), 압록강 하구의 위화도에서 군대를 돌려 개경을 공격, 최영 등을 제거한 후 정치적 실권을 장악 신진사대부의 분화 온건파 사대부 : 정몽주, 이색(고려 왕조 유지, 점진적 개혁 주장), 조선 건국 이후 낙향하여 향촌 자치 추구 급진파 사대부 : 정도전, 조준(새로운 왕조 개창, 역성혁명 주장), 다른 성씨로 왕조 교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