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전기기사

(26)
변전설비 - 특수 변압기 결선 (1) V - V 결선 전력공학 - V결선 벡터도 V-결선으로 3상의 전압을 낼 수 있는 이유 : Eab와 Eca 벡터의 합은 Ebc 벡터와 같은 크기의 반대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압의 크기는 같다고 볼 수 있고 V-결선이라 하더라도 기존의 델타-결선과 lrsfe.tistory.com V결선 시 출력은 정상 결선 시 변압기 1대 용량의 √3배가 된다. [kVA], [kW]의 단위에 주의한다. 출력비는 고장 전 3상 출력과 고장 후 V결선 시 출력을 비교한다. √3P / 3P = 57.7% 이용률은 V결선 시 이론적인 출력과 실제 출력을 비교한다. √3P / 2P = 86.6% (2) 3권선 변압기 1, 3, 2차 변압기로 권수비에 따라 두 종류의 전압과 용량을 얻을 수 있다. 송배전에 적용되는 Y-Y..
변전설비 - 기본 결선법 (1) Δ - Δ 결선 V = V∠0º, I = √3I∠-30º 제 3고조파 전류가 Δ결선 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 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1상분이 고장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하여 운전이 가능하다. 각 변압기의 상전류는 선전류의 1/√3배가 되어 대전류에 적당하다. 중성점이 없으므로(비접지 방식) 지락 전류의 검출이 곤란하다.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른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 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2) Y - Y 결선 V = √3V∠30º, I = I∠0º 1, 2차 전압 사이의 위상차가 없다. 모두 중성점이 존재하여 이상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전압이 선간전압의 1/√3배가 되어 절연이 용..
시퀀스제어 - 리액터 기동법, 기동보상기법, 플러깅 제동법 리액터 기동법 직렬로 연결된 리액터의 전압강하에 의해 감전압하여 기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기동법이다. 기동 완료 후 리액터를 단락시켜 전전압으로 운전한다. 자기유기, 타이머(시한회로)를 사용하고 조건에 따라 인터록을 추가하기도 한다. 상변화는 없다. 기동보상기법 기동보상기(단권변압기)를 이용해 감전압하고 기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기동법이다. 기동 완료 후 전전압을 가하여 운전한다. 자기유지, 인터록, 시한회로(타이머)가 쓰인다. 상변화는 없다. 플러깅 제동법 플러깅 제동(역상 제동)은 역회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역회전 토크를 발생시켜 전동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플러깅 릴레이는 속도 개폐기로 전동기가 회전하면 폐로되고 속도가 0에 가까워지면 개로되는 릴레이다. 타이머의 역할은 급제동 시 발생하는 과전류를 방지하는..
시퀀스제어 - 자기유지, 인터록 등 자기 유지 회로 PB2 ON, R 여자 보조접점 R 동작 PB2 누르지 않아도 보조접점을 통해 자기유지되어 L 점등 인터록 회로 인터록회로는 동시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이다. PB1 ON, R1 여자 → 보조접점 R1 동작, 자기유지 PB2 ON 시켜도 R2는 여자되지 않는다. 병렬우선회로(1) 인터록 회로의 응용이다. PB1 ON, R1 여자 → 보조접점 R1 동작 PB2, PB3 ON 시켜도 R2, R3 여자되지않는다. 전원이 투입되고 가장 먼저 입력된 신호와 연결된 계전기만 여자되므로 선입력우선회로라 한다. 병렬우선회로(2) PB1 ON, R1 여자 → 보조접점 R1 동작(R1 자기유지) PB2 ON, R2 여자 → 보조접점 R2 동작(R2 자기유지), R1 소자(복귀) PB3 ON, R3 여자 ..
시퀀스제어 - 직입기동, 정역운전 직입 기동 회로 (1) 주회로 (2) 보조회로 자기유지 회로 적용 전원 투입 → GL 점등 PB1 ON, MC 여자 → 보조접점 MC 동작, GL 소등, RL점등 PB0 OFF, MC 소자 → 전원 차단 사고 시, 열동계전기 THR 동작 → OL 점등 정역 운전 회로 자기유지, 인터록 회로 적용 전원 투입 → GL 점등 PB1 ON, MC1 여자 → 보조접점 MC1 동작, RL1 점등(정회전), GL소등, RL2 소등상태 PB0 OFF, 전원 차단 PB0 ON, 전원 투입 → GL 점등 ※ 정회전 이후 역회전 하는 경우, 회전이 끝나지 않아 타이머를 추가하는 경우도 있다. PB2 ON, MC2 여자 → 보조접점 MC2 동작, RL2 점등(역회전), GL 소등, RL1 소등상태 사고 시, 열동계전기 THR..
시퀀스제어 - 전동기 Y-Δ 기동 회로 Y-Δ 기동 회로 전동기의 기동전류를 줄이기 위하여 Y결선으로 기동하고, 기동이 끝나면 Δ결선으로 운전한다. Y 기동 전류가 Δ 기동 전류보다 1/3 작고 토크 또한 1/3 작다. - 기동토크가 1/3인 이유는 유도전동기 등가회로를 통한 토크 공식으로 알 수 있다. 1. 누름버튼스위치를 계속 누르고 있을 수 없으니 자기유지회로가 필요하다. 2. Y와 Δ가 동시에 동작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터록이 필요하다. 3. Y 기동 후 Δ 운전을 하기 위한 정격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요구되므로 타이머가 필요하다. BS1 ON, MC1 여자 → 보조접점 MC1 동작, GL 소등, T 여자, MC2 여자(Y기동), 보조접점 MC2 동작 설정 시간 후, Tb, Ta 동작 → MC2 소자, 보조접점 MC2 복귀,..
변전설비 - 변압기 효율 1. 실측 효율 n = (출력의 측정값 / 입력의 측정값) * 100[%] 입력을 측정하기가 번거롭다. 2. 규약 효율 n = (출력 / 출력 + 손실) * 100[%] 3. 효율 계산식 단상 효율 n = Pacosθ / Pacosθ + Pi + Pc 3상 효율 n = 3Pacosθ / 3Pacosθ +3Pi + 3Pc (단상 효율과 같다.) V결선 효율 n = √3Pacosθ / √3Pacosθ + 2Pi + 2Pc (V결선의 출력은 변압기 1대의 용량의 √3배) 4. Pi 철손, 무부하손, 고정손 등으로 불린다. 부하율에 관계없이 변압기의 철심에서 발생하는 손실이다. 변압기 수만큼 철손이 증가한다. 3상 = 3Pi, 단상 = Pi, V결선 = 2Pi 5. Pc 동손, 부하손, 가변손 등으로 불린다. ..
변전설비 - 변압기 용량 산정 용량 산정에 앞서 변압기 용량의 결정 시 필요한 인자들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1. 수용률 각각의 수용 설비가 사용되는 정도를 말한다. 수용률 = (최대 수용 전력 / 부하 설비 합계) * 100[%] 예를 들어 수용가 A의 설비 용량이 400kW, 수용률이 80%라면 수용가 A의 최대 전력은 320kW가 된다. [kW], [kVA]의 단위에 주의하자. 식을 바꿔서 최대 수용 전력(Am) = 부하 설비 용량 * 수용률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 부하율 공급 설비가 얼마나 유용하게 사용되는지의 지표가 된다. 유용하다는 말은 일정한 기간동안 비교적 균등하게 전력을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부하율 = (평균 수용 전력 / 최대 수용 전력) * 100[%] 예를 들어 200kW의 설비 용량을 가진 공장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