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연도별)
900 견훤 후백제 건국 901 궁예 후고구려 건국 907 당 멸망, 오대십국 시대 916 요(거란) 건국, 야율아보기가 거란의 부족을 통일 918 고려 건국, 태조왕건 919 철원에서 송악으로 천도 926 발해 멸망, 거란에 의해 멸망함 927 공산 전투, 후백제와의 전투에서 패배 930 고창 전투, 후백제 격퇴 934 발해 유민 포용 935 견훤 귀순, 신라 항복 936 후삼국 통일, 일리천 전투, 황산 전투에서 후백제 격퇴 940 역분전 실시, 후삼국 통일 과정에서 공로자에게 인품과 공로에 따라 토지 지급 949 광종 즉위 956 노비안검법 실시, 호족 세력 약화, 국가의 수입 기반 확대 958 과거제 실시(문치주의, 유교) 960 송의 중원 통일 975 경종 즉위 976 시정 전시과 실시, 관직 ..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연도별)
BC 221 춘추전국시대 진 통일 BC 206 전한 BC 37 고구려 건국, 동명성왕, 졸본성 BC 19 유리왕, 고구려 BC 18 백제 건국, 온조왕, 위례성 3 도읍을 국내성으로 천도, 백제 9 신 건국 18 대무신왕, 고구려 22 대무신왕이 부여 정복, 고구려 25 후한 건국 32 낙랑군 일부 점령, 고구려 42 가락국 건국(가야), 김수로왕, 김해 53 태조왕, 고구려 65 동옥저 복속, 고구려 179 고국천왕, 왕위 계승제 확립 220 후한 멸망, 삼국시대 234 근초고왕, 백제, 6관등제 265 위 삼국 통일 300 미천왕, 고구려 313 낙랑군, 대방군 축출, 고구려 316 위 멸망, 십육국 시대 330 고국원왕, 고구려 356 내물왕, 신라 371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평양성에서 사망,..
조선 전기
1. 조선의 건국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고려 말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물리친 최영, 이성계 등의 신흥 무인 세력이 백성의 신망을 받으며 성장함 요동 정벌과 위화도 회군 명이 원을 몰아내고 중국을 장악, 고려에 철령 이북의 땅을 요구, 우왕 때 명의 요구에 반발한 최영 등이 요동 정벌을 주장, 이성계 등 4불가론을 들며 요동 정벌에 반대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음, 위화도 회군(1388), 압록강 하구의 위화도에서 군대를 돌려 개경을 공격, 최영 등을 제거한 후 정치적 실권을 장악 신진사대부의 분화 온건파 사대부 : 정몽주, 이색(고려 왕조 유지, 점진적 개혁 주장), 조선 건국 이후 낙향하여 향촌 자치 추구 급진파 사대부 : 정도전, 조준(새로운 왕조 개창, 역성혁명 주장), 다른 성씨로 왕조 교체 주..
구석기 시대 ~ 철기 시대, 고조선 및 주변 국가
1. 구석기시대(70만년 전 시작) 뗀석기(주먹도끼, 슴베찌르개) 사냥, 채집, 동굴, 막집 생활 이동생활, 평등사회 연천 전곡리, 공주 석장리, 흥수아이 2. 신석기시대(BC. 8000) 간석기(가락바퀴, 뼈바늘) 농경, 목축 - 농사가 시작되었으나 여전히 사냥, 채집이 경제생활의 중심이였음 빗살무늬토기, 갈판, 돌판, 조개껍데기 예술품, 치레걸이 정착생활, 평등사회 원시신앙(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암사동 선사유적지 3. 청동기시대(BC. 2000~1500) BC. 2333 고조선 건국 반달돌칼(벼농사) - 생활기구는 여전히 돌과 나무로 만들어 사용함 비파형동검, 거친무늬거울, 청동방울, 민무늬토기, 미송리식토기(손잡이) 고인돌, 계급의 분화, 군장(지배자) 선민사상 대두(하늘의 자손임을 자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