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한국사능력검정

조선 전기(연도별)

1388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1389 고려 공양왕 재위
1391 과전법 시행, 권문세족의 세력 약화

1392 태조 이성계, 정몽주 등 온건파 사대부 제거 후 조선 건국
1394 한양 천도, 정도전 [조선경국전]
1395 정도전 [경제문감] 조선경국전을 보완, [고려국사], [천상열차분야지도] 고구려의 천문도

1398 정종 즉위, 정도전 [불씨잡변], 성리학의 관점에서 불교의 폐단 비판, 숭례문 완성

1400 태종 즉위, 6조 직계제, 사간원 독립, 호패법, 신문고 등
1402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403 주자소 설치, 계미자, [동국사략] 왕조의 정통성 확보 목적

1404 창덕궁
1405 재정 확충을 위해 세금을 걷을 토지를 조사하는 양전 사업 실시
1406 유향소(지방 자치 기구) 폐지

1418 세종 즉위, 집현전 설치, 의정부 서사제 실시, 왕권과 신권의 조화 추구, 왕도 정치
1419 이종무, 쓰시마 섬 정벌
1421 4군 6진 개척
1426 3포 개항(부산포, 제포, 염포)
1428 고려 말 [효행록]의 초판이 나왔으며 1428년 설순이 개정, 유향소 부활
1429 [농사직설], 농서 중 현존하는 최고의 서적
1433 계해약조 체결, 혼천의, [향약집성방]
1434 설순 [삼강행실도], 자격루, 앙부일구, 갑인자
1442 측우기
1443 훈민정음 창제
1444 [칠정산] 한국사 최초의 역법서, 공법 제도 실시(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차등 조세 부과)
1446 훈민정음 반포

1447 신기전과 화차 개발, [용비어천가] 왕권의 정통성을 강화함으로써 백성의 복속을 유도, [몽유도원도] 안평대군

1450 문종 즉위

1451 [고려사] 최종본 완성
1452 [고려사절요] 고려사의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편찬한 편년체 역사서


1452 단종 즉위
1453 계유정난, 수양 대군이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훈구 세력과 일으킨 정변

1455 세조 즉위, 수양 대군(세종의 둘째 아들), 6조 직계제 실시, 집현전 폐지, 경연 중단, 유향소 폐지
1456 사육신 처형
1457 김종직 [조의제문] 1498 무오사화의 발단
1458 상평창 설치(흉년에 대비)
1460 [경국대전] 편찬 시작
1466 직전법 시행(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 지급), 소격서 설치(도교)
1467 이시애의 난 진압

1468 예종 즉위

1469 성종 즉위, 경국대전 완성 및 반포, 홍문관 설치
1470 관수 관급제 실시(관청에서 조세를 거두어 관리에게 지급)
1471 신숙주 [해동제국기]
1474 [국조오례의]

1478 서거정 [동문선]
1481 [동국여지승람]
1482 폐비 윤씨(성종의 전부인, 연산군의 생모) 사사사건
1485 [동국통감] 완성

1492 [금양잡록] 민간 농서
1493 [악학궤범] 음악 이론 집대성

1494 연산군 즉위, 급진파 사대부, 세조의 집권을 도운 훈구파 정치 권력 장악
1498 무오사화, [조의제문]으로 왕위 정통성을 풍자, 사림파 부관참시
1504 갑자사화, 폐비 윤씨 사사사건에 관련된 인물들 대거 축출, 사림과 훈구 다 같이 숙청
1506 중종반정, 갑자사화 이후 연산군의 폭정, 훈구 세력이 주도

1506 중종 즉위, 훈구 세력 견제를 위해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 세력 등용, 급진적인 개혁 추진
1510 3포 왜란
1518 현량과 실시(조광조의 건의로 실시된 채용 방식, 사림파 등용)
1516 향약(지방 자치 기구), 조광조의 건의로 시작, 이황과 이이에 의해 널리 보급
1519 기묘사화, 조광조의 급진적인 개혁에 훈구세력 반발(위훈 삭제 등), 조광조 사망
1525 의창 폐지, 진휼청 설치로 통합
1542 백운동 서원(성리학을 도입한 안향 제사), 사림의 여론 형성 주도

1544 인종 즉위

1545 명종 즉위(문정왕후, 수렴청정)
1545 을사사화, 중종과 인종이 죽은 뒤 외척세력 간 권력 다툼 발생, 소윤파(윤원형)가 왕실 세력 장악
1555 을묘왜변
1559 임꺽정 활동, 그들이 도둑이 된 것은 왕정의 잘못이지 그들의 죄가 아니다. [명종실록]

1567 선조 즉위, 사림 세력의 정권 장악, 서원과 향약으로 훈구파 밀어냄, 붕당의 형성

1580 정철 [관동별곡]

1588 정철 [사미인곡]
1592 임진왜란, 이순신 등 옥포해전, 한산도대첩, 연산군과 북인, 의병의 활약(곽재우, 고경명)
1597 정유재란, 명과 왜의 휴전 협상 결렬로 재침임, 직산전투, 명량대첩
1598 전쟁의 종결, 유성룡 [징비록]

1608 광해군 즉위, 대동법 실시(특산물, 공물을 쌀로 통일)
1609 기유약조 체결, 통신사 파견

1610 허준 [동의보감] 완성

1618 명과 후금의 전쟁 중 강홍립을 명에 원군으로 파견, 실리적인 중립 외교 추진

1623 인조반정, 서인 세력이 폐모살제 등을 이유로 반정을 일으킴

1623 인조 즉위, 서인 세력이 지나치게 명분에 집착한 탓에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원인이 됨

1624 이괄의 난, 인종반정 이후 정사공신의 논공이 공평하지 못함을 계기로 일으킨 난

1627 정묘호란, 이괄의 잔당이 후금에 투항하여 인조반정의 부당함을 고발함, 후금의 침입, 형제의 맹약 체결
1636 병자호란, 후금이 청으로 이름을 바꾸고 군신의 관계 요구, 강화도로 피난, 삼전도의 굴욕


1649 효종 즉위

1654 나선 정벌, 청의 요청으로 조총 부대 파견

1659 송시열, 이완 등을 중심으로 북벌 추진, 어영청 등 군대 양성, 효종이 죽자 계획 중단

1659 현종 즉위

1674 숙종 즉위
1712 백두산 정계비 건립

'자격증 > 한국사능력검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 사회  (0) 2022.02.03
조선 후기  (0) 2022.02.03
고려 시대(연도별)  (0) 2022.01.25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연도별)  (0) 2022.01.25
조선 전기  (0) 2022.01.22